찾아보기
beed(비드), 뉴스레터로 만나보세요.
보험이야기, 보험뉴스를 담아드립니다. 미리 구독하기
knowledge
단어를 알면 보험이 보인다. - 보험기초용어 4
2025-01-07

보험 청구를 하고 받는 돈은 보험료일까? 보험금일까? 특약을 넣으라고 하는데 대체 무슨 말일까? 보험을 이용하는 당신이 더 이상 당황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구분해 보는 보험용어들.

내가 ‘내는’ 돈과 내가 ‘받는’ 돈, 보험료와 보험금

보험은 보험 계약자(소비자)와 보험사의 계약이다.

보험에 가입한 후 우리가 매달 정기적으로 보험회사에 내는 금액은 ‘보험료’, 보험에 해당되는 질병이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보험회사가 보험 계약자에게 가입한 보험의 내용대로 지급하는 돈을 ‘보험금’이라 한다.

보험료가 보험 계약을 유지하고 사고 발생 시 ‘보험금’을 받을 권리를 보장받기 위해 지불하는 비용이라면 ‘보험금’은 계약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사고나 특정 상황 (보험 만기 시) 보험회사로부터 받는 돈을 의미한다.

간단히 정리하면 내가 내면 ‘보험료’, 내가 받으면 ‘보험금’이다.

보험료와 보험금

보험의 뼈대와 옵션, 주계약과 특약

주계약은 보험 상품의 기본 보장 항목으로 해당 상품 계약 시 기본적으로 포함되는 보장항목이다.

보험의 핵심 계약으로 해당 보장이 없으면 보험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중요한 계약인 만큼 우리가 내는 보험료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예를 들어 생명보험의 경우 사망보장이 필수, 실손의료보험의 경우 병원비 실손보장이 필수적인 주계약이 된다.

특약은 이런 주계약에 추가로 선택하여 가입할 수 있는 부가적인 보장항목이다.

옵션인 만큼 반드시 가입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보장만 골라 추가할 수 있다.

이러한 특약은 보험료에서 내가 얼마나 선택하냐에 따라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적을 수도 때로는 클 수도 있는데, 자신의 상황에 맞는 특약을 추가하면 더 효과적인 보장을 받을 수 있다.

주계약과 특약

보험나이와 상령일

사람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당연히 보험회사 입장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더 많은 보험료를 요구할 수밖에 없다. 보험나이는 보험 가입 시점에 기준이 되는 나이로 실제 나이와 다를 수 있다.

보험나이는 정확한 생일로 계산하지 않고 최근 생일을 기준으로 기간을 나눠 계산한다.

생일 기준 6개월 미만은 현재 나이를 기준으로, 6개월 이상은 다음 나이로 계산한다.

예를 들어 만 30세가 되는 생일이 2025년 7월 1일이라면 2025년 1월1일-6월 30일까지는 보험나이 30세, 2025년 7월 1일-12월 31일은 보험나이 31세로 간주된다.

이처럼 보험나이는 생일 기준 전후 6개월에 바뀌게 되는데 이 날짜를 ‘상령일’이라 한다.

보험나이와 상령일

만약 당신이 조금이라도 보험료를 줄이고 싶다면 다가올 생일 기준 6개월 이전에 보험을 가입하는 것이 좋다.

한살이라도 젊을 때 가입한 보험이 더 저렴할테니 말이다.

기억해두자. 보험료는 어릴수록 더 저렴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