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시, 군, 구)에서 해당 지역 주민을 위해 가입하는 보험으로, 시민이 예상치 못한 사고나 재난을 당했을 때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시민안전보험은 각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보험사 또는 공제회와 계약한 보장 제도로 2015년 충남 논산시에서 최초로 도입한 이후 현재까지 지자체의 약 90%가 시민안전보험에 가입되어 있다.
시민안전보험은 해당 지역에 주소를 둔 주민이라면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자동으로 가입된다.
물론 타 지역으로 전출하면 자동으로 해지되고 이사가는 지역이 시민안전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다시 자동으로 가입된다.
나는 낸 적 없는 시민안전보험료, 누가 내고 있는 걸까? 시민안전보험의 보험료는 지자체에서 전액 부담한다.
그렇기 때문에 시민안전보험은 해당 지역의 주민이라면 가입할 필요도, 돈을 낼 필요도, 해지 할 필요도 없는 보험인 것이다.
이렇게 신경쓸 필요가 전혀 없어보이는 보험이지만 내가 가입된 보험의 보장을 제대로 받으려면 시민안전보험이 어떤 사고를 보장하는지 정도는 알아봐야하지 않을까?
내가 가입되어있는 시민안전보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려면 시민안전보험 조회 사이트를 이용하면 된다.
해당 사이트를 통해 내가 사는 지역의 지자체에서 어떤 보장을 지원하는지 상세히 조회해볼 수 있다.
각 지자체마다 보장하는 사고의 종류, 보장금액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기왕 알게된 거 이번 기회에 내가 사는 지역의 시민안전보험을 조회해보자.
시민안전보험 보험금 청구는 일반 보험의 청구절차와 크게 다르지 않다.
사고발생 시 내가 사는지역의 시민안전보험을 조회해보고 각 지자체별 담당부서와 담당자번호를 통해 필요서류 확인 후 보험금을 신청하면 된다.
시민안전보험 보험금 청구 기한은 3년이며 주소지가 아닌 타지역에서 사고를 당하더라도 경우에 따라 보장을 받을 수 있으니 참고할 것.
이렇게 좋은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시민안전보험의 낮은 인지도는 아직 개선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홍보가 미흡한 탓에 2019년부터 3년간 주민이 시민안전보험을 청구한 건은 1만679건에 불과했고 서울시 자료에 따르면 시민안전보험 사업이 시작된 2020년 이후 연도별 수혜율 역시 평균 40%에 불과하다.
그래도 지금은 과거 대비 정부도 적극적으로 홍보에 나서고 있고, 플랫폼에 시민안전보험을 안내하는 기능 등이 추가되며 시민안전보험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힘쓰고 있는 중.
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시민들의 자발적 관심이다.
어떤 문제든 관심을 갖지 않으면 변화하지 않는 법. 내가 사는 지역의 보장내역을 확인하고 관심을 갖는 것이야말로 더 안전하고 든든한 시민안전보험을 만들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일테니 말이다.